PS/BOJ
BOJ 2193 이친수
모달조아
2021. 6. 29. 05:03
boj 2193 이친수
쉬운 계단 수, 오르막 수와 비슷한 류의 문제이다. 길이가 N인 이친수의 경우의 수를 끝이 0이거나 1인 경우로 나눈다. 초기 값으로는 길이가 1일 때와 2일 때를 잡고, 그 값을 쌓아올려 길이가 N일 이친수의 갯수를 구한다. 길이가 3 이상인 이친수의 경우, 끝이 0인 경우 그 앞의 수로 0, 1이 올 수 있다. 끝이 1인 경우는 그 앞의 수로 0만 올 수 있다. 이를 바탕으로 테이블 D[i][j]를 길이가 i이고 맨 끝 수가 j인 이친수의 갯수로 정의하고 점화식을 설정했다.
j가 0일 때, D[i][j] = D[i-1][j] + D[i-1][j+1]
j가 1일 때, D[i][j] = D[i-1][j-1]
점화식을 바탕으로 코드를 구현했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n;
long long ans;
long long D[95][5];
int main(void)
{
ios_base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0);
cin >> n;
D[1][1] = 1;
D[2][0] = 1;
for (int i = 3; i <= n; i++)
{
for (int j = 0; j <= 1; j++)
{
if (j == 1) D[i][j] = D[i - 1][j - 1];
else D[i][j] = D[i - 1][j] + D[i - 1][j + 1];
}
}
ans = D[n][0] + D[n][1];
cout << ans;
}